설치 계획

MoodleDocs

본격적으로 무들을 설치하여 운영하기 전에 세심한 설치계획을 세우는 일이 필요합니다. 무들이 본격적으로 가동된 이후, 이용하는 사람이 많아지거나 강좌 수가 많아져서 그 구조를 바꾸거나 데이터베이스를 이전해야 하게 되면 꽤 번거로운 과정을 거쳐야 하기 때문이죠.

우선 고려해 보아야 할 사항은 무들패키지를 어디에서 운영할 것인가 입니다.

  • 외부의 전문적인 웹 호스팅 업체, 자신의 웹서버 혹은 가정
자신의 웹서버 혹은 가정에서 자신이 모든 걸 구축하고 관리한다면 큰 문제는 없습니다. 필요한 여러 패키지들을 구해서 설치해 쓰면 되니까요.
하지만 웹 호스팅을 할 경우, 미리 점검해 보아야 할 사항이 매우 많습니다. 호스트 쪽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잘 점검해 보고 무들을 설치해서 운영하기에 적합한 환경을 만들 수 있는가를 조목조목 따져야 합니다. 가장 좋은 방법이야 무들을 만든 분들이 운영하는 무들 파트너에 웹호스팅을 의뢰하는 것이 겠지요.
만일 집에서 직접 서버를 구동하게 될 때에는 ISP 규약을 점검해야 할 필요가 있고 또한 직접 인터넷에 연결될 수 있는 제반 조건을 충족시킬 수 있느냐를 면밀히 검토해 보아야 합니다.
참 외부에 의뢰하여 웹서버를 임대할 경우에도 몇 가지 따져봐야할 내용이 있습니다. 무들 자체가 그리 무리한 사용환경을 요구하는 것은 아니지만 나중을 위해서라도 점검해 두어야 할 것은 꼭 챙겨야 합니다. 이 때에는 운영하고자 하는 무들의 판에서 요구하는 최소 요구사항을 꼭 참고하셔서 서버 임대 측에서 그러한 요구사항을 충족시켜는지를 점검해야 합니다.
  • 어떤 운영 체제에서 구동할 것인가?
무들은 대체로 PHP를 활용하여 웹에 데이터를 제시하게 되어있다. 따라서 데이터베이스엔진, PHP해석기, 웹구동 등을 원할히 할 수 있는 체제라면 어떤 운영체제라도 운영 가능하다.
아주 큰 사이트(high production site)에 윈도우 운영 체제를 쓰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여러분이 무들을 설치하는 연습을 할 때라면 모를까 본격적으로 무들을 운영하고자 할 때에는 Mac이나 Linux로 바꾸는 게 훨씬 나을 것이다.
리눅스를 처음 접하는 사람들은 대개 환경이 생소해서 꺼리는 면이 많은 데, 좀 익숙해 지면 그리 나쁘지도 않다. 여러분이 잘 쓰고 있는 운영체제를 처음 익힐 때를 생각해 보아라!!! 리눅스 초심자들에게는 XAMPP를 강력 추천한다. XAMPP는 무들을 운영하는데 꼭 필요한 모든 응용프로그램들을 묶어놓은 것이다. 만일 그게 여의치 않다면 여러분 스스로 웹서버인 Apache, 데이터베이스인 MySQL, 그리고 PHP엔진을 설치하면 된다.
만일 여러분이 Linux배포판 중 Debian을 쓴다면 그나마도 신경쓰지 않아도 된다. 다음과 같은 명령 하나로 만사 끝이니까!
 apt-get install moodle 
Mac에서도 그리 힘들이지 않고 구동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허긴 이 글을 쓰는 나는 써 보지 않았으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