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사 지침서

MoodleDocs

교사 지침서

이 문서는 무들을 이용해서 빠르게 배움터를 만들 수 있는 안내서입니다. 이 곳에 여러분이 미리 알면 좋을 기초적 상식들과 더불어 활용할 수 있는 대략적 기능에 대해서 요약해 놓았습니다.

시작하기 전에

본 문서는 사이트 관리자가 이미 여러분이 새로운 교과과정을 시작할 수 있게 모든 조처를 해 놓았다고 가정하고 쓰여져 있습니다. 또한 이미 여러분이 "교사"의 권한으로 새 배움터(과정)에 로그인 한 상태를 가정합니다.

다음에 배움터을 시작하는데 있어 알고 있으면 좋을 내용 세 가지를 제시합니다.

  1. 시도하는 것에 대한 두려움을 버리십시오.
편안한 마음으로 여기 저기 들러보고 변경시켜 보십시오. 무들의 배움터는 잘 망가지지 않습니다만, 설령 잘못되도 되돌려 놓기는 쉽습니다.
  1. 아이콘에 주목하고 활용하십시오.
  • 섬네일을 만드는 중 오류 발생: 대상 경로에 섬네일을 저장할 수 없습니다.
    - 편집 아이콘은 어떤 문서건 수정할 수 있게 합니다.
  • 섬네일을 만드는 중 오류 발생: 대상 경로에 섬네일을 저장할 수 없습니다.
    - 도움말 아이콘팝업창을 통해 적절한 도움말을 제공합니다.
  • 섬네일을 만드는 중 오류 발생: 대상 경로에 섬네일을 저장할 수 없습니다.
    - 감추기 아이콘 은 어떤 내용을 학생들이 보지 못하게 감춥니다.
  • 섬네일을 만드는 중 오류 발생: 대상 경로에 섬네일을 저장할 수 없습니다.
    - 보이기 아이콘은 감췄던 내용을 다시 보이게 합니다.
  1. 화면 상단에 있는 위치 표시(navigation bar)를 활용하십시오.
이것은 항상 여러분이 어디에 있는지를 알려 주며, 헤매지 않게 도와줍니다.

배움터의 설정

제일 먼저 해야할 일은 배움터 화면에 나타나는 "관리" 창을 찾아 "설정"을 누르는 일입니다.(관리 영역은 사이트 관리자와 교사인 여러분에게만 제공됩니다.) 학생들에게는 이러한 영역이 보이지 않습니다.)

설정 화면에서 배움터 명칭, 강좌 시작 일시 등을 비롯하여 상당히 많은 내용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각각에 대해 자세한 안내를 해 주는 도움말 아이콘이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합니다. 하지만 가장 중요한 배움터 형식 만큼은 여기에 설명하겠습니다.

여러분이 선택한 배움터 형식은 템플릿과 같은 배움터의 기본적인 틀을 결정하게 됩니다. 무들 1.0판에서는 세 가지 형식이 제공되고 있습니다만 추후에는 좀 더 많은 형식이 제공될 것입니다. (좋은 아이디어가 있으시면 martin@moodle.org에게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다음은 각기 다른 세 유형의 배움터 과정의 예시 화면을 보여주는 것입니다.(색깔에는 신경을 쓰지 않아도 됩니다. 이는 사이트 관리자기 전체적으로 지정하는 것입니다.)

주간(Weekly) 형태
섬네일을 만드는 중 오류 발생: 대상 경로에 섬네일을 저장할 수 없습니다.
주제(Topics) 형태
섬네일을 만드는 중 오류 발생: 대상 경로에 섬네일을 저장할 수 없습니다.
사회적(Social) 형태
섬네일을 만드는 중 오류 발생: 대상 경로에 섬네일을 저장할 수 없습니다.

주간형과 주제형 유형이 매우 비슷하다는 점을 유념하여 주십시오. 주된 차이점은 주제형의 경우, 기한에 억매일 필요가 없는 반면 주간형의 경우에는 한 주내에 소화해야 할 내용을 담고 있다는 점입니다. 사회적 형태의 경우 많은 내용을 다루기 보다는 대체로 포럼(토론)에 기반하여 운영되어 토론이 전체 화면을 차지하게 됩니다.

좀 더 자세한 내용을 알고 싶으면, 배움터 설정 화면에 있는 도움말 버튼을 눌러보시기 바랍니다.

파일의 전송

아마 여러분은 내용과 함께 웹화면, 음악파일, 워드문서 혹은 동영상 등을 배움터에 올리고 싶은 경우가 있을 것입니다. 현존하는 어떤 유형의 파일도 배움터 서버에 올려 저장할 수 있습니다. 일단 서버에 올려진 파일은 자유자재로 이동시키고, 이름을 바꾸며, 수정 혹은 삭제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일들은 아래에 보이는 것처럼 관리 메뉴의 파일관리 기능을 통해서 할 수 있습니다.

섬네일을 만드는 중 오류 발생: 대상 경로에 섬네일을 저장할 수 없습니다.

이러한 기능은 교사에게만 제공되는 것이며, 학생은 접근할 수 없습니다. 개개의 파일은 후에 학생들에게 "자료"로 제공될 수도 있습니다.

예시 화면에서 볼 수 있듯이 파일들은 하위디렉토리와 함께 제시됩니다. 여러분들은 파일들을 체계적으로 저장하기 위해 하위 디렉토리를 생성할 수 있으며, 파일들을 이리 저리로 옮길 수도 있습니다.

웹에 파일을 올리는 것은 현재 한번에 하나 씩으로 제한되어 있습니다. 만일 여러분이 한꺼번에 많은 파일(예를 들어 웹사이트 전체)을 옮기고자 한다면, 여러 파일을 zip 프로그램을 이용해 한데 묶어 하나의 파일로 만든 후, 이를 서버에 옮긴 후 다시 서버 컴퓨터에서 풀어 놓는 것도 한 방법이 될 것입니다. (Zip 묶음 옆에 "unzip" 링크를 볼 수 있습니다.)

서버에 올린 파일을 미리 보기 위해서는 파일명을 클릭하기만 하면 됩니다. 그러면 웹브라우저가 알아서 보여줄 건 보여 주고 내려 받을 것은 내려받게 조처해 줄 것입니다.

웹문서나 일반 텍스트 문서는 온라인 상에서 바로 수정할 수 있습니다. 기타 유형의 파일은 자신의 컴퓨터로 파일을 내려받아 수정한 후, 다시 올려야 합니다. 이 때 이미 서버에 있는 동일한 이름으로 파일을 올리면 자동적으로 기존 파일을 덮어쓰게 됩니다.

덧붙임 : 만일 여러분의 자료가 웹 상에 있는 것이라면, 파일을 전혀 올릴 필요가 없습니다. 배움터에 바로 링크만 해 주면 됩니다. (다음 절에 나오는 자료 모듈을 참고하세요).

활동 설정

배움터를 구축한다는 것은 학생들이 이용할 과정 활동 모듈을 순서에 따라 첨가해가는 것을 말합니다. 활동의 순서는 언제든 바꿀 수 있습니다.

편집을 하고 싶으면 관리화면에서 "편집모드를 켬"을 누르면 됩니다. 이 스위치는 배움터 화면에서 여러 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기능을 조절할 수 있게 해 줍니다. 위에 제시됐던 주별 배움터 형식은 이러한 편집모드가 켜진 상태를 보인 것임에 주목하기 바랍니다.

새로운 활동을 첨가하기 위해서는 첨가하고자 하는 주별, 주제별 혹은 구분별 영역으로 가서 팝업메뉴의 활동유형을 고르면 됩니다. 아래는 무들 1.0 판의 기본적 활동에 대한 요약 설명입니다.

과제

과제에서는 일정한 기간을 정해서 숙제를 내 주고 평가를 할 수 있습니다. 학생들은 과제를 하기 위해 파일을 올릴 수도 있습니다. 이 때 학생들이 과제를 제출한 날짜가 기록되게 됩니다. 그 후 교사는 화면을 통해 개개인이 낸 파일을 볼 수 있으며(언제 냈는지도 보여줌) 지도 조언을 써 줄 수도 있고 등급을 매길 수도 있습니다. 선생님이 학생들을 평가한 후 30분 쯤만 지나면 무들은 학생들의 성적을 자동적으로 통지해 줍니다.

간편 설문

간편 설문은 매우 간단합니다. 학생들에게 질문에 대한 몇 개의 답안 예시를 보여주고 이 중에서 답을 고르라고 하는 것입니다. 학생들이 답안 중에서 선택을 하면 교사는 바로 그 결과를 볼 수 있게 됩니다. 나는 이를 이용하여 내 학생들로부터 연구 consent 를 수합하는데, 여러분들은 학급 투표나 간단한 설문 조사 등에 활용할 수 있을 겁니다.

포럼

이 기능을 통해서 토론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이 모듈이 가장 중요하다고 봅니다. 새로운 포럼을 열면, 몇 개의 다양한 유형 즉 단순주제 토론, 일반적 토론, 개별 토론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자료

자료는 여러분의 교육과정에 있는 내용을 말하는 것입니다. 개개의 자료들은 올려진 파일이 될 수도 있고, URL 주소가 될 수도 있습니다. 텍스트기반의 간단한 화면에서 일정한 양식에 몇 항목만 적어 넣어 자료를 쉽게 관리할 수 있습니다.

문제은행

이 모듈을 통해 선다형, OX 문제, 단답형 등으로 구성된 퀴즈문제를 만들고, 실시해 볼 수 있습니다. 질문은 범주화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며, 배움터 내, 더 나아가 다른 배움터에서도 재 활용 할 수 있습니다. 퀴즈는 여러 번 답하는 것이 허용됩니다. 개개의 시도(반응)들은 자동적으로 기록되며 교사는 조언을 해 줄 것인지 아니면 정답을 보여줄 것인지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이 모듈에는 성적처리 기능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설문지 조사

이 조사 모듈은 학급의 학생들을 이해하고 평가하는데 유용한 몇 개의 이미 규정된 설문조사 도구를 제공합니다. 최근에 COLLES와 ATTLS 도구가 여기에 포함되었습니다. 이것들은 학습 초기에 진단 도구로서, 학습이 끝난 후에는 평가 도구로서 학생들에게 투여될 수 있습니다.(본인은 매주 우리 학급에서 이를 활용하고 있습니다)

활동을 첨가한 후에는 위아래 화살표(

섬네일을 만드는 중 오류 발생: 대상 경로에 섬네일을 저장할 수 없습니다.
섬네일을 만드는 중 오류 발생: 대상 경로에 섬네일을 저장할 수 없습니다.

)를 이용하여 각각의 순서를 바꿀 수도 있습니다. 또한

섬네일을 만드는 중 오류 발생: 대상 경로에 섬네일을 저장할 수 없습니다.

아이콘을 이용하여 삭제할 수 있음을 물론,

섬네일을 만드는 중 오류 발생: 대상 경로에 섬네일을 저장할 수 없습니다.

아이콘을 이용하여 재편집을 할 수도 있습니다.

배움터의 운영

사실 이 문서를 확장하여 좀 더 완벽한 지침서를 만들려는 원대한 계획을 가지고 있습니다. 아직은 부족하지만 몇 가지 운영 방안을 제시해 봅니다.

  1. 학급이 어떻게 돌아가는지 살펴보기 위해 모든 포럼에 가입한다.
  2. 학생들이 자신의 신상명세(사진포함)을 다 채우도록 권장하며 이 것들을 잘 읽어 본다 - 이렇게 하면 추후 학생들의 글의 맥락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며 학생들의 요구에 적절한 답변을 해 주는데 도움이 된다.
  3. 되도록 (관리계정 아래에 있는) 개인적인 "교사 포럼"에다 기록을 남긴다. 특히 팀티칭을 할 때는 매우 유용하다.
  4. 관리화면의 "로그" 기능을 이용하여 활동기록을 꼼꼼히 챙긴다. 60초 단위로 갱신되는 로그 기록은 학생들의 이전 활동 목록들을 보여준다. 하루 종일 이 화면을 켜 놓고 배움터 안에서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를 지켜보는 것도 의미가 있다.
  5. (명단 옆에나 개인 기록의 상단에 있는) "활동 보고"를 활용한다. 이를 통해 특정인이 배움터 안에서 무슨 일을 하는지 아주 잘 살펴볼 수 있다.
  6. 가급적 빨리 답변하라. 나중으로 미루지 말고 즉시 행하라. 이렇게 하면 새로 생기는 활동의 양에 쉽게 친숙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움터의 핵심이랄 수 있는 집단 분위기를 형성하고 유지하는 일에 쉽게 친숙해 질 수 있기 때문이다.

추가 정보

만일 사이트에 어떤 문제가 발생하면 사이트 관리자에게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만약 무들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획기적인 방안이 있거나 좋은 의견이 있으시면 주저하지 말고 moodle.org에 접속해서 "Using Moodle" 과정에 등록하여 우리와 함께 하길 바랍니다. 언제나 여러분의 의견을 환영하며, 여러분은 무들의 향상에 기여하실 수 있습니다.

만약 새로운 모듈 작성, 문서작성 혹은 논문 등으로 공헌하고 싶으시다면 Martin Dougiamas에게 편지를 주시거나, moodle.org/bugs에 있는 무들을 위한 "bug tracker" 에 기고하시면 됩니다.

마지막으로, 도움말 아이콘을 항상 기억하기 바랍니다. 여기에 [../help.php?file=index.html 무들에서 쓰이는 도움말 파일 목록 모음]을 다시한번 제시합니다.

무들을 사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여러분의 앞길에 항상 만복이 깃들기를 기원합니다!